본문 바로가기
경제재테크

인터뷰-SK최태원 회장님이 생각하는 한국 경제의 미래

by 10년차 자격증러 2025. 7. 27.

SK최태원 회장님이 생각하는 한국 경제의 미래

구독자 128만 명을 가진 유튜브 채널 '김지윤의 지식 PLAY'에서 SK최태원 회장과 한국 경제의 미래에 대한 인터뷰 영상을 보고 왔습니다. 모두가 한국 경제를 이끌어가는 총수의 마인드와 생각을 들어보면 좋을 것 같아서 소개해 보겠습니다.

 

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

 

1️⃣ 기술 패권을 가지기 위한 전략

민관 합동으로 기술 패권을 만들어 내야 한다. 우리나라만이 특화된 AI를 육성해내야 한다. 전반적인 AI기술을 모두 섭렵할 수는 없다.

1. 제조 AI는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2. 소프트 문화사업에 AI를 접목하여 문화산업군을 육성해내야 한다.

 

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

 

 

 

2️⃣ 글로벌 기업의 관세 고민  

미국에 대체품이나 대체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관세냐, 아니냐에 따라 관세 정책을 다르게 받아들여야 한다. 미국 내에서는 반도체를 생산해 낼 공급처가 없으므로 반도체 부분에 관세를 올릴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관세는 부품 하나 또는 모듈 단위로 정책을 펼칠 수도 있어서 복잡 다양한 방향으로 판단해야 한다.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트럼프 관세 정책은 단순한 관세가 아니라 보호무역주의의 발현이다. 보호무역을 할 때는 그 보호 대상이 무엇이고 진짜 속내를 파악해내야 한다.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3️⃣  저성장시대에서 새로운 돌파구는 없을까?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지금까지 사용하지 않은 방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결국 나홀로 살수는 없는 환경으로 몰아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연대를 해서 우리의 몸집을 불려야 하고, 우리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곳과 연대를 해야한다. 그런데 그 연대는 일본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EU와 같은 경제 공동체를 만들 필요성을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내수 시장이 작기 때문에 공동체를 통해 시장을 넓혀야 한다.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는 1.8조 달러, 일본은 4.2조 달러로, 공동체가 되면 6조 달러의 시장이 된다. 시장이 커졌으니 그 안에서 경쟁만 잘하면 된다.

 

또 하나의 공동체를 해야 하는 이유는, 시장의 고비용을 줄일 수 있다. 모든 것을 다 하나의 시장에서 모든 것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잘하는 것을 서로 공급하고, 공급받으면 되는 것이다.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물론 일본은 역사적인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도 있지만, 그렇다고 피해야 할 선택이 아니라 넘어서야 하는 선택이라고 본다.

EU를 보면, 독일과 프랑스는 우리와 일본과는 또 다른 차원의 역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이 두 나라의 주도로 창설되었다. 따라서 역사적인 문제와 경제적인 협력은 양쪽과 이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시각을 가져야 한다.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

 

물가 상승과 환율 불안, 트럼프 관세의 간접적 충격

인구감소시대에 작은 내수시장을 가진 우리나라는 수출을 많이 해야 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해외 의존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불안도가 커진다는 의미가 된다. 해결 문제는 결국 내수를 강화하는 것이다.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그 방법론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 예로 필요한 고급두뇌를 많이 유치하자. 가족까지 데려와서 돈을 벌게 하고 동시에 소비하게 만들자.

 

 

바뀌어야 하는 한국의 경제 모델 청사진?

70,80년대부터 수출 중심의  정책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핵심은 외부에서 돈을 벌어서 안으로 돈을 유입시키는 일이다. 이제는 수출이라는 방법 외에 새로운 경제 모델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글로벌 시장은 보호무역시대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보호무역시대는 무역마찰과 외교문제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새로운 경제 모델이 바로 해외 투자 방식이다. 해외에서 투자된 돈이 리턴해서 유입되는 방법이 있다. 일본경제가 더 이상 성장하지 않으니, 성장하는 쪽에 가서 투자를 해서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투자를 진행해오고 있다.

 

출처: 김지윤의 지식 Play

 

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

 

 

4️⃣ 한국 정부의 대응 전략, 무역 다변화와 외교 협상 필요

그동안 상품을 수출해서 벌어들이는 하드웨어적인 방법을 썼다면 이제는 '소프트머니'는  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경제는 무역 다변화와 외교 협상이 필요합니다. 신흥 시장으로의 수출 산업 확대와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협력이 중요하며, 물가 상승환율 불안에 대비한 거시적 안정 전략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우리나라 SK 최태원 회장이 생각하는 한국 경제의 미래에 대한 인터뷰를 소개하고 싶습니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관세라는 큰 산 앞에 있는 한국 경제 중앙에 서 있는 분의 생각을 읽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그렇다면 먼저 트럼프 행정부와 관세 협상을 마무리한 일본의 경우는 어떨까요?

 

 

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


5️⃣ 일본의 미국 관세 협정 결과

최근 일본은 트럼프 행정부를 대상으로 관세 압박에 대해 전략적으로 대응해 상호관세율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성공했습니다.

주요 합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호관세율 15%로 인하
  • 자동차 관세 25%에서 12.5%로 인하
  • 대신 일본은 미국산 자동차, 트럭, 쌀 및 특정 농산물에 대해 시장 개방을 협약하였습니다.
  • 일본은 또 미국에 5,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도 약속했습니다.
  • 아쉽게도, 철강·알루미늄 관세는 기존의 50%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

6️⃣ 관세 협정의 경제적 영향

일본 자동차 업계는 이번 자동차 관세 12.5% 인하된 관세 협정으로 도요타 등 주요 기업 주가가 10% 이상 급등하였고, 일본 정부는 '농업을 희생시키지 않았다'라고 강조하면서 쌀 수입은 최소시장접근(MMA) 제도 내에서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정에서 미국과의 협상국가 중 일본이 가장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냈다고 평가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US 트럼프의 관세 폭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과 대응 전략

 

 

 

7️⃣ 끝으로

도널드 트럼프 관세 정책은 단순히 무역 장벽을 넘어 한국 경제 전반에 구조적 위기를 가져오는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런 위기일수록 정부의 전략적인 대응이 중요합니다. 우수한 외교 협상력과 산업 혁신은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것 같습니다. 이번 경제 위기에서도 우리나라가 잘 헤쳐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